2) 구조물 수리작업 (구술 또는 실기 평가)
가) 스톱홀(stop hole)의 목적, 크기, 위치 선정
- 균열이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도록 막는 것이 목적입니다.
- 크기는 대략 ¼”
- 균열 끝부분에서 메뉴얼에 따라 ⅛ 또는 1/16” 인치 떨어진 곳에 구멍을 뚫습니다.
나) 리벳 선택(크기, 종류)
- 리벳 지름은 결합할 판재의 두꺼운 두께의 3배.
- 리벳 길이는 결함할 판재의 총 두께와 리벳 직경의 1.5배 합.
다) 카운터 성크(counter sunk)와 딤플(dimple)의 사용구분
- 카운터 싱크 작업: 리벳 구멍 언저리에 원추 모양이 움푹 들어간 부분을 절삭하는 작업이며
판재 두께가 리벳 머리 높이보다 두꺼운(또는 두께가 0.04in 초과) 경우에 작업합니다.
- 딤플링 작업: 판재 두께가 0.04in 이하면, 펀치와 다이로 접시머리 리벳을 눌러 찍어서 압착시키는 작업입니다.
라) 리벳의 배치(ED, pitch)
- ED는 연거리로, 판재 모서리 끝부분에서 인접한 리벳 중심까지의 거리입니다. 리벳 지름의 2배~4배 사이가 적당합니다.
- pitch는 리벳 중심과 리벳 중심의 거리입니다. 3D~12D까지 허용되지만 6D~8D가 적당합니다.
- 추가적으로 열간 간격(횡단 피치)는 열과 열 사이의 거리를 발하며 리벳 간격의 75% 정도가 적당합니다.
마) 리벳작업 후의 검사
- 리벳 헤드가 뜨지 않았는지?
바) 용접 및 작업 후 검사
- 용접이란, 2개 이상의 금속과 비금속을 열과 압력 등을 가해 고체 사이에 직접 결함되도록 접합시키는 작업입니다.
크게 융접 / 납땜 / 압점으로 나뉩니다.
융접은, 모재 접합 부분을 용융상태로 가열해 접합하거나 접합봉을 주입해 융착시키는 방법입니다. 가스 용접과 아크 용접이 있습니다.
- 가스 용접은 아세틸렌과 산소를 이용하는 융접 작업입니다. 각각 적색과 녹색 통에 보관되며, 용접 시에 나타나는 불꽃에 따라 쓰임새가 달라집니다.
- 아크 용접은 용접봉과 모재 사이에 전류(직류 또는 교류)를 흘려서 발생되는 아크 열(3500 ~ 6000도)을 이용한 융접 작업입니다. TIG와 MIG가 대표적입니다.
- 압점은, 가압 용접이라고 불리며, 접합부를 적당한 온도로 가열 또는 냉각하여 기계적 압력을 가해 접합하는 작업입니다.
- 납땜은, 접합부의 금속보다 낮은 온도에서 녹는 용가재인 납으로 접합부에 유입시켜 접합해주는 작업입니다.
용접 작업 후, 침투 탐상 검사로 용접의 외부 결함 상태(접합 불량 등)을 검사해주며, 방사선 검사나 초음파 검사, 자분 탐상 검사를 이용해 언더컷이나 오버랩 또는 변형과 잔류 응력 등이 생겼는지를 검사합니다.
'항공정비사 면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술대비 #9] 도면의 이해 (3면도 작성, 도면 기호 식별) (0) | 2020.03.09 |
---|---|
[구술대비 #8] 판재 절단, 굽힘 작업 (패치의 재질 및 두께 선정기준, 굽힘 반경, 셋백과 굽힘 허용치) (0) | 2020.03.09 |
[구술대비 #6] 리벳의 식별 (사용목적, 종류, 특성, 열처리 리벳의 종류 및 열처리 이유) (2) | 2020.03.09 |
[구술대비 #5] 발동기 정비방식 (HSI, CSI) (0) | 2020.03.09 |
[구술대비 #4] 부분품 정비방식 (하드타임, 온컨디션, 컨디션 모니터링) (0) | 2020.03.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