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공정비사 면허

[구술대비 #36] 시운전 절차 (시동절차 개요 및 준비사항, 시운전 실시, 시운전 도중 비상사태 발생 시(화재 등) 응급 조치 방법, 시운전 종료 후 마무리 작업 절차)

by Muggle. 2020. 3. 9.

 

가) 시동절차 개요 및 준비사항

 

1. 지정된 장소에 주기하며, 맞바람을 맞도록 주기

2. 주변 FOD 제거

3. 경고판 배치

4. 시동장비 확인 (APU, GPU)

  

 

나) 시운전 실시

 

1. APU 시동 -> pneumatic v/v “open” -> 공기 압력이 30psi 이상 되는지 확인

2. fuel pump, hyd pump s/w “on”

3. 점화 스위치 (ignition s/w) 위치 : LH / RH / BOTH

4. starter s/w “off” -> “GRD” 전환. APU로부터 starter valve로 공기가 들어간다.

5. N2 RPM 계기가 회전을 시작하고, oil press’가 증가하는지 확인

6. N2 회전속도가 25% RPM에 도달하면, starter lever를 “cut-off” -> “idle”로 변경

    f/f 증가하면서 EGT 상승하는지 확인.

7. N1 회전자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지 확인

8. 점화되기까지 N1, N2, EGT, oil press, f/f 계기 관찰

9. 2~3초 후, 점화되는 순간부터 idle RPM까지 도달하는 동안에 각종 계기 지시 상태 확인.

 

  

다) 시운전 도중 비상사태 발생시(화재 등) 응급조치 방법

 

< 화재 발생 시 >

1. fuel cut-off v/v -> “off” 로 이동

2. 화재가 소멸될 때까지 dry motoring

3. 소멸 안되면 이산화탄소를 air inlet duct 안으로 방출시킨다.

4. 진압 x -> 안전 거리만큼 멀리 이동한다.

 

<과열 시동 : hot start>

1. EGT 허용한계치 초과. 시동 중단

 

<결핍 시동 : hung start>

엔진이 규정된 시간 안에 idle 회전수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낮은 회전수에 머물러있는 현상.

-> 배기가스 온도가 계속 상승 / 허용한계온도 도달 전에 시동 중단

 

<시동 불능 : not start>

엔진이 규정된 시간 안에 시동되지 않는 경우. 엔진 정지. 연료/점화계통 차단.

잔류 연료 제거를 위해 15초간 dry motoring 실시.

 

  

라) 시운전 종료 후 마무리 작업 절차

 

1. eng 외부상태 점검, 연결 피팅, 볼트, 너트 루즈 여부 확인.

2. oil leak 흔적 점검

3. fuel leak 흔적 점검

4. oil filter 점검

5. fuel filter 점검

6. magnetic chip detector 점검

7. 필요시 borescope 검사

8. electric, sensing, fuel & oil , pneumatic line 상태 점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