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비행전후 점검, 주기점검(A,B,C,D 등)
비행전 점검(PR 점검)은 그 날의 최종 비행을 마치고부터 다음 비행 확인 전까지 항공기 출발 태세를 확인하는 점검입니다. 항공기 내/외 청결 확인과 세척, 기/액체 보급과 결함 교정 등을 수행합니다. 비행 후 점검은 최종 비행 후에 점검하고, 첫 비행시간으로부터 운항편이 바뀌고 나서 시발기지나 최종 목적지에서 계획 출발 시각까지 경과 시간이 24시간을 경과할 때마다 수행합니다. (국제선은 48시간)
A CHECK는 운항에 직접 관련해서 빈도가 높은 정비단계로, 약 1~2개월 주기로 수행하며, 항공기 내/외부 육안검사, 액체 및 기체류의 보충, 결함 교정, 기내청소, 외부 세척 등을 점검합니다.
B CHECK는 A CHECK의 점검사항을 포함하며, 4~6개월 주기로 수행합니다. 항공기 내외부의 육안검사, 특정 구성품의 상태점검, 액체 및 기체류의 보충을 행합니다.
C CHECK(Heavy Maintenance)는 기본 A,B CHECK의 점검사항을 포함하며, 제한된 범위내에서 구조 및 제계통의 검사, 계통 및 구성품의 작동점검 등을 행하여 감항성을 유지하는 점검입니다. 보통 1년 주기로 수행합니다.
D CHECK(Overhaul)는 인가된 점검주기시간 한계 내에서 항공기의 기체구조 점검을 주로 수행하며, 4년 주기로 수행합니다. 부분품의 기능점검 및 계획된 부품의 교환, 잠재적 결함교정 등으로 감항성을 유지하는 기체점검의 최고단계를 말합니다.
나) Calendar 주기, flight time 주기
Calender 주기란, 비행시간과 관계없이 일정한 주기가 되면 항공기를 점검하는 방식입니다. 비행을 하지 않아도 일정 주기가 되면 수행합니다.
Flight Time 주기란, 비행을 위해 자체 출력으로 움직이기 시작한 때를 시작으로 착륙 후에 항공기가 멈출 때까지의 조종 시간을 의미합니다. 비행시간에 따라 부품 교환 정비 항목을 점검하고, 캘린더 주기와 차이점은 비행하지 않으면 점검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항공정비사 면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술대비 #6] 리벳의 식별 (사용목적, 종류, 특성, 열처리 리벳의 종류 및 열처리 이유) (2) | 2020.03.09 |
---|---|
[구술대비 #5] 발동기 정비방식 (HSI, CSI) (0) | 2020.03.09 |
[구술대비 #4] 부분품 정비방식 (하드타임, 온컨디션, 컨디션 모니터링) (0) | 2020.03.09 |
[구술대비 #2] 작업 구분 (감항증명 및 감항성 유지, 수리와 개조, 항공기 등의 검사, 항공기 정비업, 항공기 취급업 (0) | 2020.03.09 |
[구술대비 #1] 항공종사자의 자격 (자격증명 업무범위, 자격증명의 한정, 정비확인 행위 및 의무 (0) | 2020.03.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