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공정비사 #실기시험7

[구술대비 #5] 발동기 정비방식 (HSI, CSI) 3) 발동기 정비방식 (구술 평가) 가) HSI(Hot section inspection) Hot section은 기관에서 열을 많이 발생하는 연소실 / 터빈 / 배기구를 말합니다. 연소실은 보어스코프로 내부 균열과 열점 현상, 그을림 또는 비틀림 등이 발견되거나 연소 노즐 분사 상태나 점화 플러그가 불량이면, 장탈하여 기종에 따라 정해진 절차로 정비하고, 재조립 시에 보어스코프로 제대로 조립되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터빈은 디스크 결함과 블레이드 잔물결 형상이 생겼는지 검사하여 발견되면, 연소실 출구 온도 조절 실패로 인한 과열을 받고 있다는 의미로 반드시 매뉴얼을 통해 정비해야 합니다. 배기구는 고온/압 배기가스로 인한 덕트 내부 손상 여부나 서모커플 결함 유무, 배기가스 누설 흔적 등을 확인해야 합.. 2020. 3. 9.
[구술대비 #4] 부분품 정비방식 (하드타임, 온컨디션, 컨디션 모니터링) 2) 부분품 정비방식 (구술 평가) 가) 하드타임(Hardtime) 방식 시한성 정비로 예방 정비 방식이며, 관련 Manual에 따라 주기적으로 Overhaul이 필요하며, 사용 시간 만료되기 전에 장탈하는 방법입니다. (일정한 사용 시간에 도달한 장비품 등에 적용됩니다.) 나) 온컨디션(On condition)방식 상태 정비로 주어진 점검 주기에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검사와 점검, 테스트와 서비스 등을 말합니다. 감항성 유지에 적절한 점검과 작업 방법이 적용되어야 합니다.(성능 허용 한계, 마멸 한계, 부식 한계 등을 갖는 장비나 부품에 적용됩니다.) 다) 컨디션 모니터링(Condition monitoring) 방식 신뢰성 정비로 고장 자료를 수집, 분석, 기록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방식입니다. 예방.. 2020. 3. 9.
[구술대비 #3] 항공기 정비방식 (비행전후 점검, 주기점검, Calender 주기, Flight time 주기) 가) 비행전후 점검, 주기점검(A,B,C,D 등) 비행전 점검(PR 점검)은 그 날의 최종 비행을 마치고부터 다음 비행 확인 전까지 항공기 출발 태세를 확인하는 점검입니다. 항공기 내/외 청결 확인과 세척, 기/액체 보급과 결함 교정 등을 수행합니다. 비행 후 점검은 최종 비행 후에 점검하고, 첫 비행시간으로부터 운항편이 바뀌고 나서 시발기지나 최종 목적지에서 계획 출발 시각까지 경과 시간이 24시간을 경과할 때마다 수행합니다. (국제선은 48시간) A CHECK는 운항에 직접 관련해서 빈도가 높은 정비단계로, 약 1~2개월 주기로 수행하며, 항공기 내/외부 육안검사, 액체 및 기체류의 보충, 결함 교정, 기내청소, 외부 세척 등을 점검합니다. B CHECK는 A CHECK의 점검사항을 포함하며, 4~6.. 2020. 3.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