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공정비사 면허65

[구술대비 #45] 전자전기 벤치작업 (배선작업 및 결함검사, 전기회로 스위치 및 전기회로 보호장치, 전기회로의 전선규격 선택 시 고려사항, 전기 시스템 및 구성품의 작동상태 점검) 가. 배선작업 및 결함검사 (1) 전선 번들의 느슨함(Slack in Wire Bundles) 배선은 번들과 개별 전선에 장력이 걸리지 않도록 느슨하게 장착되어야 한다. 가동구성요소(movable component) 또는 완충마운트식(shock-mounted) 장비에 연결된 전선은 번들에 장력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충분히 이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져야 한다. 터미널러그(terminal lug) 또는 커넥터에 배선은 전선의 교체 없이 두 번의 재-종단 (re-termination)을 허용할 수 있는 충분한 여유가 있어야 한다. 이 여유는 드립루프(drip loop)와 가동구성요소의 허용오차에 추가되어야 한다. 그림 2-120과 같이, 일반적으로 전선그룹(wire group) 또는 번들은 지지점 .. 2020. 3. 9.
[구술대비 #44] 기본 공구의 사용 (공구 종류 및 용도, 기본자세 및 사용법) 가. 공구 종류 및 용도 1. 망치 2. 드라이버 3. 플라이어 (커터, 롱노즈, 덕빌) 4. 펀치 5. 렌치 - 라쳇 렌치, Box-end 렌치, Open-end, Combination 렌치, 소켓, 스피드 핸들, 라쳇 핸들, 익스텐션 바 6. 토크렌치 7. 가위 8. 쇠톱 9. 줄 10. 드릴 11. 리머 12. 탭과 다이 13. 자 14. 캘리퍼스 15. 마이크로미터 나. 기본자세 및 사용법 1. 공구를 가지고 장난을 해서는 안됩니다. 2. 해당 작업에 맞는 공구를 사용하여 항공기와 장비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3. 교정 일자를 확인합니다. 4. pliers류 사용 시는 grip을 정확히 잡아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미끄러져 다칠 수 있습니다. 5. 공구에 grease 또는 오일 등이 묻.. 2020. 3. 9.
[구술대비 #43] 감항성 개선명령 (감항성개선지시의 정의 및 법적 효력, 처리결과 보고절차) 가. 감항성개선지시(Airworthiness Directive)의 정의 및 법적 효력 AD(Airworthness Directive)란 감항성 개선 명령으로서 항공기의 감항성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결함, 징후등에 대하여 개선명령을 하는 것으로서, 항공기의 제작사가 해당항공당국(FAA나 EASA)에 보고를 하면, 해당 항공당국(FAA나 EASA)은 항공기를 운용하고 있는 국가의 항공당국(국토교통부)에 감항성 개선 명령을 내리면 그 국가의 기술기준에 의거하여 항공기의 운용사에 감항성 개선 명령을 내리는 것으로서, 행정적인 명령이며, 법적인 효율을 갖고 있어 강제성을 띄고 있습니다. AD를 만약 수행시간 내에 못한다면 국토교통부 장관에 승인을 받아서 수행시간을 연장시키거나 대체방법으로 전환이 .. 2020. 3. 9.
[구술대비 #42] 감항증명 (항공법규에서 정한 항공기, 감항검사 방법, 형식증명과 감항증명의 관계) 가. 항공법규에서 정한 항공기 "항공기"란 공기의 반작용(지표면 또는 수면에 대한 공기의 반작용은 제외한다. 이하 같다)으로 뜰 수 있는 기기로서 최대이륙중량, 좌석 수 등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다음 각 목의 기기와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기를 말한다. 가. 비행기 나. 헬리콥터 다. 비행선 라. 활공기(滑空機) 나. 감항검사 방법 1. 항공기 감항성을 검사받기 위해 제작사에서 형식 증명 승인을 먼저 받습니다. 2. 나라별 국적 등록국에서 국적 등록 기호를 받습니다. 3. 검사관에게 검사를 받아 싸인을 받으면, 1년 이내의 유효 기간을 부여 받습니다. 다. 형식증명과 감항증명의 관계 형식증명이란 항공기를 만들고자하는 사람이 그 설계항공기가 기술기준에 적합한지에 대한 증명서를 받는.. 2020. 3. 9.